리빙랩 설계 입문
김지연(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교수)
1 /48
Play list 총 48개
01
1.1 기술과 사회의 공동-진화
22:07
02
1.2 리빙랩의 이해_ 이론적 배경
18:22
03
1.3 리빙랩 방법론
14:11
04
1.4 토크_ 리빙랩의 가능성
19:12
05
2.1 독일, 지속가능랩
17:25
06
2.2 스웨덴, 푸드와치
14:34
07
2.3 미국, 웰리빙랩
14:16
08
2.4 일본, 세이프캐스트
13:33
09
2.5 토크_ 리빙랩과 사회문제 해결
20:22
10
3.1 영국 에너지 리빙랩
13:39
11
3.2 북유럽 FormIT 모델
13:11
12
3.3 협업 HSB 리빙랩
11:52
13
3.4 네덜란드 스프래쉬 목욕
13:28
14
3.5 토크_ 리빙랩에서 예상되는 난관들
19:45
15
4.1 리빙랩 방법론 핸드북
28:32
16
4.2 도시랩 가이드라인
33:48
17
4.3 도시랩 운영 툴키트
17:31
18
5.1 인터뷰 카드
22:14
19
5.2 워크샵 공동제작
16:38
20
5.3 훈련게임
20:46
21
5.4 토크_ 언메이크랩의 다르게 만들기
11:28
22
6.1 보태니콜 프로젝트
21:57
23
6.2 스마트 팜_ 인간-기술-식물
22:03
24
6.3 시연_ IoT 부품들 알아보기
15:56
25
6.4 토크_ 보태니콜 프로젝트에서 배우기
20:12
26
7.1 스마트 시민 프로젝트_ 환경 데이터 수집
26:13
27
7.2 소음 지도 프로젝트
24:44
28
7.3 시연_ 스마트 키트 만들어 보기
22:33
29
8.1 한국리빙랩네트워크(KnoLL)
21:03
30
8.2 서울시, 사회혁신으로서 리빙랩
19:11
31
8.3 성대골,에너지자립마을
13:39
32
8.4 대전 시민참여 연구센터
17:22
33
9.1 독일, 환경 센싱
19:27
34
9.2 벨기에, 공기오염 센싱
18:44
35
9.3 시연_ 공기질 측정 장치
10:45
36
10.1 시민 과학의 통찰
31:02
37
10.2 시민과학 플랫폼
10:21
38
10.3 시민과학 게임_ Foldit, Eterna
16:56
39
10.4 시연_ 센서데이터와 플랫폼 연결하기
22:41
40
11.1 리빙랩으로서 대학
08:25
41
11.2 세인트말레지아대, 환경 DNA 리빙랩
12:21
42
11.3 브라질 파소폰도대, 캠퍼스 녹지대 리빙랩
12:26
43
11.4 시드니기술대, 초학제 리빙랩 모델
15:06
44
11.5 MIT, 리빙랩을 위한 전환도구(Transaction Tools)
12:09
45
11.6 토크_ 대학 리빙랩 가능성
20:57
46
12.1 프로젝트 설계하기
18:22
47
12.2 제안서 작성하기
14:46
48
12.3 토크_ 리빙랩 프로젝트 구현과 수행
58:55